테슬라 블랙박스 설치 방법 3 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차를 타면서 상시녹화를 꺼 놓은 상태로 주차 테러를 당해본 후에 블랙박스는 꼭 좋은 모델로 설치를 합니다. 남들이 잘 설치 안 하는 커넥티드도 반드시 설치를 하는 편인데요.
이번에 테슬라 모델 Y 출고를 기다리면서 블랙박스 설치 방법을 조사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테슬라 블랙박스 설치 방식
1. 순정 카메라
테슬라는 기본적으로 주행보조를 위한 카메라가 8개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테슬라 차량에서는 설치된 기본 카메라들을 블랙박스와 같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주차 중에는 센트리 모드를 통해 촬영을 하게 되는데요. 기본 카메라는 화각이 좁고, 화질도 부족하고, 날짜 표시가 되지 않고, 음성 녹음이 되지 않으며 오류가 잦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리고, 센트리 모드는 배터리 소모량이 상당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사제 블랙박스를 반드시 설치하겠다고 마음을 먹었고, 설치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2. 별도 블랙박스 모듈
최근에 JB 테슬라 라는 국내 업체에서 테슬라 전용 블랙박스 모듈을 제작해서 판매하고 있는데요.
이 모듈은 테슬라 차량의 12V 배터리에 연결되고, 모듈과 블랙박스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합니다. 즉, 모듈이 블랙박스와 테슬라의 12V 배터리를 중계해 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중간에서 BMS 에러를 막아주면서 블랙박스를 구동하는 형태로 동작합니다.
이 모듈을 사용할 경우에는 센트리 모드를 켜고 끄는 것에 관계없이 블랙박스의 상시녹화가 가능하고, 블랙박스 단독사용을 통해 배터리 소모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제품은 아래 링크를 통해 구매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위의 판매 링크 가격 그대로 사지 말고, 테슬라 카페 중에 네이버 TKC 카페에 가입하면 13만원이 넘는 할인 쿠폰을 구할 수 있습니다. 언제까지 진행할 지는 모르겠지만, 카페에서 공구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요즘은 할인쿠폰의 형태로 제공하고 있으니 TKC 카페에서 할인 쿠폰을 먼저 알아보실 것을 추천 드립니다.
3. 12V 배터리 직결
테슬라의 전원 시스템인 12 V 전원에 블랙박스를 직접 연결하는 형태입니다.
테슬라 12V 배터리에서 바로 전원을 뽑아서 쓰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배터리 소모가 다소 있습니다. 다만, 최근에 나오는 블랙박스는 초저전력 모드가 별도로 있어서 주차시에 전력 소모를 낮춰 주기는 합니다.
하지만, 12V 배터리에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고, 화재나 방전위험도 있으며 정식 센터에서 보증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방법은 배터리 방전 문제 때문에 자주 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추천하지 않는 연결 방식입니다.
4. 시거잭 및 보조배터리
3번의 12V 배터리 직결 방식이 메인 배터리가 소모된다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별도의 블랙박스용 보조배터리를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시거잭을 연결하는 방식이 근래까지도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블랙박스 설치 방법이었다고 합니다.
시거잭의 전원 선을 따서 블랙박스에 연결하고, 보조배터리를 설치하지 않는 방식도 가능한데요. 보조배터리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차량이 주차모드로 들어가면 시거잭 전원 연결이 끊겨서 블랙박스도 함께 꺼집니다. 따라서, 주차 상시녹화는 결국 순정카메라 센트리모드에 의존해야 합니다.
센트리 모드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보조배터리를 설치해야 하는데요, 주행 중에 보조배터리를 충전하고, 정차시에는 보조배터리 용량을 사용함으로써 테슬라 메인 배터리의 부담을 덜면서 상시녹화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이 방식은 보조배터리를 설치함으로써 전력량에 여유가 생긴다는 장점이 있지만, 화재 위험이 있다는 걱정을 하고 계십니다. 그래서 테슬라 차주분들 중에는 인산철로된 보조배터리를 따로 구매하시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보조배터리의 가격이 30만원 이상 하다 보니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은 있습니다.
5. USB 블랙박스 + 보조배터리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USB 포트에 블랙박스를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차량 내부의 USB 에서 전원선을 블랙박스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사용하는 방식인데요. 이것을 위해 많은 분들이 샤오미 블박 70mai를 사용하고 계십니다. 다만, 차량 내부 USB 에서 전원을 뽑아 쓰다 보니 주차 중에는 블랙박스 사용이 어려워 별도 보조배터리를 설치하여 주차 상시 녹화시에는 보조 배터리에서 전원을 끌어다 작동합니다.
이 방식은 마찬가지로 보조배터리에 의한 화재 위험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다만, USB 에서 전원을 끌어오는 것은 BMS와의 충돌 문제는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6. 결론
저는 별도 블랙박스 모듈을 샀습니다. 이게 인기가 많아서, 배송에 20일 이상이 소요되고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추가로 보조배터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쉽게 분리가 가능해서 보증이슈가 있을 때 간단하게 탈거 가능할 것 같고, 배터리 소모율도 낮기 때문에 구매를 결정했습니다.
사용기는 좀 더 써보고 공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