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8일 16시에 발표된 기상청 태풍 정보에 따르면, 태풍 카눈(KHANUN)이 한반도로 북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8월 10일 쯤엔 경남 남해안으로 상륙해서 한반도 정중앙을 관통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데요. 오랜만에 한반도 중심을 관통하는 태풍이 발생한 만큼 태풍 카눈 대비 행동요령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8월 8일 16시에 발표된 태풍의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태풍 상황 확인
기상청에 접속하시면 태풍통보문 페이지가 있습니다. 태풍 발생 시에는 하루에도 복수회 통보문이 발행되기 때문에 수시로 기상청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태풍의 이동 경로를 확인해 보시면 좋습니다.
통보문 페이지에 접속하시면, 발표 시간과 더불어 예상되는 중심위치, 강풍반경, 폭풍반경 및 진행 방향과 이동 속도를 상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예보를 살펴보시면, 70% 확률 반경이 완전히 한반도 중심을 통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에 주의를 기울이실 필요가 있습니다.
2. 상세 행동요령
(1) 대피 계획 수립
위에서 확인한 태풍 상황을 이용하여 대피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매체(라디오, tv, 인터넷 등)의 속보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고,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인 안전디딤돌 앱도 사용하실 것을 권장 드립니다.
아래에 안전디딤돌 앱 안내 페이지를 링크해 놓겠습니다.
(2) 이동
휴가철이라 바다나 산, 계곡 등지로 여행을 가신분들은 신속하게 안전 지역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특히,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저지대, 지하나 붕괴우려가 있는 노후 건물이나 그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은 주변에 태풍 접근 사실을 전파하고 다같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3) 공동 대응
지역 주민과 함께 공사장, 축대, 옹벽을 미리 점검합니다. 선박, 어망, 어구는 미리 결박하고, 시설하우스와 같은 농업 시설물을 버팀목, 비닐 끈으로 고정하고, 농경지 배수로를 정비해야 합니다.
침수 예상 아파트 지하 주차장, 건물은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을 이용하여 침수 예방하고, 하수도, 집 주변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어야 합니다.
저지대, 하천 및 해변의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고, 지붕, 간판과 같이 바람에 날아가는 구조물은 결박하고, 창문을 창틀에 단단하게 고정해야 합니다.
(4) 비상용품 준비
응급용품은 미리 준비해서 배낭에 넣어두고, 수도 공급이 중단될 것을 대비하여 욕실에 긴급하게 사용할 물을 받아둡니다.
정전에 대비해서, 랜턴, 양초 및 배터리들을 준비하고,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연락처를 확인합니다.
(5) 안부확인
태풍 상륙 기간에 일정이 있다면 최대한 상륙 기간을 피하는 방향을 조정하고, 외출을 자제합니다.
또한, 주변에 태풍 접근 사실을 알리고, 어르신, 어린이 및 장애인들에게 수시로 전화 등을 통해 안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3. 태풍 카눈 대비 주요기관 연락처
119는 모두가 잘 알고계시겠지만, 실제로 재난이 닥쳤을 경우에는 행정 안전부에도 전화를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번호를 잘 기억해 두고 있다가 119 신고 이후 단계에서 도움을 받으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