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형 상표 검색 팁 – 비엔나 코드

도형 상표 검색 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업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상표등록을 한 번씩 고민해 보실 겁니다. 보통은 글자로 상표등록출원을 진행하기 때문에 키프리스에서 선행 상표를 검색할 때 텍스트를 이용해서 검색을 많이 하실 겁니다. 하지만, 내가 출원하고자 하는 상표가 도형으로만 구성된 로고의 형태라면 어떻게 검색해야 할까요?

아래에서 키프리스를 이용해서 도형 상표를 쉽게 검색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도형 상표 검색하기


1. 비엔나 분류란

비엔나 분류란 상표에 포함된 도형을 구분하기 위해서 파리조약 가입국들이 정의한 Vienna agreement 에 따라 만든 도형 상표 분류 기준입니다. 비엔나 코드는 도형요소들을 29가지의 대분류와 각각의 대분류에 따르는 중분류, 소분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 검색하고자 하는 도형의 비엔나 코드 찾기

키프리스에서 상표 탭의 스마트검색을 클릭하면 도우미 탭이 있습니다. 도우미 탭에 들어가면 도형코드(비엔나) 메뉴를 통해 도형 코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찾기 어려우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접속하세요.

위의 링크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도형설명 칸에 원하는 도형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예시적으로, ‘고래’를 검색한 결과를 아래와 같이 보드립니다. 고래도 돌고래, 고래류, 황새치 등과 같이 세분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의 사각 박스를 클릭하면 체크가 되면서 아래쪽에 6자리로 이루어진 코드가 생성됩니다. 이 코드가 바로 비엔나 코드입니다.

도형 상표 검색을 위한 비엔나 코드 조회

3. 키프리스에서 비엔나 도형코드를 이용하여 검색하기

위에서 비엔나 코드를 찾았다면, 이제 비엔나 코드를 이용해서 상표를 검색해 보겠습니다. 키프리스의 상표 검색 메뉴에서 스마트 검색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항목들이 표시됩니다. 아래의 여러가지 검색 항목 중에서 도형코드(DR)에 위에서 찾은 비엔나 코드를 입력하고 검색하기를 누르면 됩니다.


고래가 들어간 온갖 도형 상표들이 검색됩니다. 첫 번째 해골 상표는 고래가 어디 있나 한참 찾았는데, 해골 머리 가운데에 고래 두 마리가 그려져 있습니다. 두 번째 결과는 고래 지느러미 부분만 들어가 있는데도 검색이 됩니다. 이런 식으로 고래의 일부분만 포함되어 있어서 모두 검색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원하는 도형의 이름을 잘 모르는 경우

복잡하거나 추상적인 도형의 경우에 그 이름 자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는 그런 도형을 가지고 있는 선행 상표를 검색해 보면됩니다. 예를 들어서, 아디다스 오리지널의 세가지 잎이 표현된 로고와 유사한 로고를 찾고 싶은 경우에는 뭐라고 검색해야 할지 고민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아디다스를 검색해서 해당 로고를 먼저 찾아냅니다. 아디다스를 검색한 후에 리스트를 내려보면 아래와 같은 도형 상표도 등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상표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상세정보, 등록사항 등의 상위 메뉴 아래에 서지정보, 인명정보, 도형분류(비엔나)코드, 행정처리, 상표설명/지정상품과 같은 하위 메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도형분류(비엔나)코드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도안화(양식화)된 꽃으로 분류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디다스 오리지널을 꽃모양을 분류했다는 사실은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이제 찾아낸 도형코드를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스마트검색의 도형코드란에 입력하면 도안화된 꽃 모양의 도형 상표들이 검색됩니다.

4. 결론

상표등록출원을 진행하기 전에는 반드시 본인이 출원하고자 하는 상표와 유사한 상표가 있는지를 검색해 보아야 합니다. 물론 출원자체가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출원하는데 소요되는 관납료와 같은 금전적 비용과, 심사결과를 기다려야 하는 시간적 비용의 소모가 상당합니다. 특히 우선심사를 진행하지 않은 경우에, 최초 심가 결과가 통지되는데 1년 6개월 정도는 소요되는데요. 1년 6개월을 기다려 유사한 선행 상표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거절이유를 통지받게 되면 시간을 돌이킬 수 없게 됩니다.

도형 상표 검색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검색 방법조차 몰라서 검색을 전혀 해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방법을 이용해서처음 출원을 진행할 때부터 꼼꼼하게 선행 상표를 검색해보고 출원을 진행할 것을 추천 드립니다.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